본문 바로가기

유방가슴성형305

유방확대 수술계획 유방 삽입물의 크기와 모양 미용적 목적으로 유방을 수술할 때 가장 중요시해야 할 것은 유방의 부피입니다. 두 개의 유방 중 부피가 적은 유방은 일반적으로 흉골절혼(sternal notch)과 유두간 거리, 유두와 유방밑주름간 거리가 더 짧습니다. 양편 유방이 다 같이 적은데다가 크기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 2008. 3. 5.
유방비대 유방비대(macromastia)의 원인 내분비성 유방비대(Endocrine hypermastia) 처녀유방비대(Virginal hypermastia) 임신성 유방비대(Gravid hypermastia) 산후 대유방(Postgravid hypermastia) 갱년기 유방비대(Involutional hypermastia) 비만성 유방비대(Obese hypermastia) 유방비대의 분류 1형 유방(Type Ⅰ breast) : 유방이 비대하고 풍만하며, 조직.. 2008. 3. 3.
유방의 위치.. 유방은 제 2~3 늑골에서 제 7~8 늑골까지, 흉골 외측연에서 전액화선(anterior axillary line)까지의 범위 내에 위치해 있습니다. 유방은 대흉근(pectoralis major mus-cle)의 외측부분을 따라 겨드랑이에까지 뻗혀 있습니다. 유방실질 유방은 유선조직(glan-dular tissue)과 결합조직인 간질(stroma)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 2008. 2. 25.
유방확대술 과정 마취 보통은 전신마취하에서 수술하지만 국소마취하에서도 수술이 가능합니다. 도안 포케트를 만들 때는 그 범위를 상방으로는 제 2늑골 수준, 외방으로는 전액와선(anterior axillary line)과 중액와선(midaxillary line) 중간쯤, 내방으로는 흉골연까지로 합니다. 환자의 유방밑주름 수준이 적당하면 유방삽입.. 2008. 2. 21.
유방 확대술 유방 진찰 유방 진찰 체격과 흉벽 크기를 측정하고, 양편 유방을 자세히 계측합니다. 양편 유방의 피부 탄력성, 양편 유방의 부피, 양편 유두유륜복합체 (nipple areolar complex)의 위치를 관찰하여 차이가 있으면 이를 기록해 두고, 환자에게 그 차이를 보여 주고, 수술시 이를 참착합니다. 수술하기 전에 유방조영술(ma.. 2008. 2. 15.
남성의 여성유방증 여성유방증이란 남성의 유방이 지방조직의 축적으로 인하여, 또는 지방조직과 유선조직의 복합적인 증식으로 인하여 커진 것을 말합니다. 지방조직의 축적으로 인한 경우를 남자의 ‘가성여성유방증(pseudogynecomastia)'이라 부른다. 원인 첫째는 에스토르젠(estrogen), 뇌하수체홀몬(pituitary hormone), 안드로.. 2008. 1. 30.
유방축소술 - 중심유방경법 중심유방경법(Central pedicle techique) 출처 미성형외과 2008. 1. 11.
유방하수 교정술 - Goulian 법 Goulian 법 : 유두에 정지점을 정합니다. 측경기(caliper)를 이용해서 유두 예정지점으로부터 반경이 5~6cm되는 선을 유두유륜복합체 하방에 그립니다. 이 선은 유방정중선을 90°로 가로지르게 됩니다. 출처 미성형외과 2008. 1. 9.
유두 축소술 유두축소술 출처 미성형외과 2008. 1. 7.
중심유방경법 중심유방경법(Central pedicle techique) 출처 미성형외과 2008. 1. 2.
표면이 매끈한 유방삽입술 실리콘젤리 든 유방삽입물(Gel-filled breast implant) 1991년에 FDA가 사용금지 조치를 내리므로 말미암아 이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유방삽입물 주위에 피막구축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요인이 실리콘 주머니 벽을 통해서 조금씩 스며나오는 실리콘젤 입자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생리식염수가 든 유.. 2007. 12. 26.
여성유방증 교정수술 여성유방증이란 남성의 유방이 지방조직의 축적으로 인하여, 또는 지방조직과 유선조직의 복합적인 증식으로 인하여 커진 것을 말합니다. 지방조직의 축적으로 인한 경우를 남자의 ‘가성여성유방증(pseudogynecomastia)'이라 부른다. 원인 첫째는 에스토르젠(estrogen), 뇌하수체홀몬(pituitary hormone), 안드로.. 2007. 12. 20.